광고
광고
광고
광고

골재생산 문제로 골머리 앓는 가평군...건자재 상승에 ‘속수무책’

-2022. 1월 기존 채취 사업장 허가 종료
-주민 반대에 신규 허가도 난항..특혜시비까지

남상훈 기자 | 기사입력 2022/08/23 [12:28]

골재생산 문제로 골머리 앓는 가평군...건자재 상승에 ‘속수무책’

-2022. 1월 기존 채취 사업장 허가 종료
-주민 반대에 신규 허가도 난항..특혜시비까지

남상훈 기자 | 입력 : 2022/08/23 [12:28]

▲(주)협신 토석채취 복구작업현장 <사진제공=남상훈 기자>  © 경기북부/강원 브레이크뉴스


[남상훈 기자 = 경기북부/강원] 가평군이 골재생산 문제로 골몰을 앓고 있다. 지난 1월 가평군 내 유일한 골재채취 업체가 사업을 종료함으로써 지역에서 골재생산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현재 가평군 내 골재를 생산하는 곳은 전무(全無)한 상태다. 신규 허가를 받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가평군에서 골재채취 허가를 받으려면 경기도와 산림청의 승인이 필요하다. 현재 가평군 내 골재채취 허가를 신청한 곳은 1곳이다. 가평군 조종면의 운악산 일부에 사업을 신청했다. 그러나 해당 사업의 허가는 난항을 겪고 있다. 특혜시비와 주민 반대가 있기 때문이다. 가평군으로서는 난감한 입장이다. 청정지역 이미지와 관내 건설 사업을 위한 토석 채취 허가, 그리고 원자재 공급가격 안정까지 삼중고를 겪고 있다.

 

▲ 토석채취제한지역 지정해제 예정지 공고문<사진=남상훈기자>  © 경기북부/강원 브레이크뉴스

 

<토석재취 OK?...특혜 논란까지>

가평군은 지난 1월 토석채취제한지역 지정 해제 예정지를 공고했다. 소재지는 조종면 신상리 산211-5번지로 이곳은 1991년 산림청에서 토석채취제한지역으로 지정했던 곳이다. 그러나 해당 토지소유주는 지난 2014년, 20년에 이어 3번째로 지정 해제 신청을 했다. 기존 신청에서는 산림청과 경기도로부터 해지 허가를 받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지역 민심은 반대 여론이 팽배하다. 가평지역 한 언론사는 특혜 의혹까지 제기했다. 해당 언론사는 보도를 통해 해지 허가를 신청한 신상리 산211-5번지가 특정 업체의 토석채취구역 인접 지역이며, 현재 소재지의 공동소유자인 A 씨와 B 씨가 특정 업체의 핵심 관계자라고 설명했다.

 

또한, 가평군이 문화재 인접 구역이 아닌 것과 과잉 지정이라며 토석채취제한 해제를 요청한 사실 자체가 일종의 일감 몰아주기며 특혜를 준다는 내용이었다. 

 

▲ [(주)협신 채석장 개발사업] 준공 공고<사진=남상훈기자>  © 경기북부/강원 브레이크뉴스

 

<가평군 골재생산 전무...대책은?>

현재 가평군에서 자체 생산되는 골재는 전무한 상태다. 이전까지 가평군 내 골재채취는 총 3곳에서 생산이 이뤄졌다. 그러나 2020년 ㈜KCC를 시작으로 21년 ㈜국제신소재, 22년 1월 ㈜협신을 마지막으로 모든 사업 허가는 종료됐다.

 

지난해까지 가평군에서는 연간 약 90만루베의 골재가 소비되고 있었다. 그러나 올해는 100만루베를 넘길 수 있다는 것이 가평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현재 가평군 내에서는 대형 아파트 건설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통상 아파트 건설 시 3.3㎡당 약 2.39루베의 레미콘이 들어간다고 설명한다. 가평지역의 아파트 공사 현장은 가평읍에만 3곳이며, 추가로 설악면 등에 2곳이 예정돼 있다. 

 

또한, 가평군 내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서도 골재는 사용된다. 현재 가평군은 조종면과 설악면 등 2개소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추석 연휴 이후 3개소가 추가 공사 예정이다. 이렇듯 가평군 내 공사 현장이 증가하는 만큼 골재 소비량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이냐 지역 경제냐>

가평군은 수도권에서 수상레저의 메카와 더불어 청정지역으로도 유명하다. 가평군의 대표 관광지인 명지산, 유명산, 운악산, 용추계곡과 발원지인 연인산, 가평 8경 중 하나인 호명호수와 호명산 등은 자연 친화적인 곳이다. 

 

서태원 가평군수도 청정 가평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 가평군 홈페이지에도 ‘수도권 천만 시민의 훌륭한 안식처’라고 표시하는 등 가평군이 청정지역임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청정 가평을 위해서 지역의 건설경제가 무너지는 것을 방치할 수는 없다.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건축자재 상승과 인건비 상승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건설업계는 가평지역 골재채취 사업 종료에 불안감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골재생산을 담당하고 있던 업체로서는 죽을 지경이라고 하소연한다. 기존 사업이 종료되고 신규사업은 진행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할 지경이라고 한다. 본지와 통화한 관계자는 “기존 작업하던 곳은 1월 3일부로 허가 종료됐다. 현재는 외부에서 원석을 조달해 파쇄하고 있으나 생산량은 미비한 실정이다.”라고 현재 실정을 이야기했다. 

 

또한, “경기도 지역은 단가가 높다. 군 내 생산 업체가 없으면 가평군의 금액이 많이 올라갈 것”이라며 건축비 상승을 전망했다. 

 

관계자의 설명은 앞으로 가평군에서 건설 사업 진행을 할 경우 다른 지역에서 골재를 수급해야 하며, 이는 운반비 추가지급으로 원가 상승이 이어진다는 설명이었다. 

 

▲ 가평군청사 전경<사진제공 =가평군청>     ©경기북부/강원 브레이크뉴스

 

<해답 없는 가평군>

가평군은 지역 내 골재생산과 더불어 유통되는 가격에 대한 대책도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군 관계자는 “산림청에서 규제를 완화해줘야 한다.”라는 말만 되풀이 할 뿐 별다른 대책을 내세우지 못했다.  

 

그동안 가평군 정치인들은 줄곧 각종 규제에 묶여 지역 발전이 너무 어렵다는 단골 멘트를 내뱉어 왔다. 토석채취지역도 마찬가지다. 산림청과 경기도에서 제한지역 해제가 이뤄지지 않아 생산은 올스톱 상태다. 가평군 내 업체들은 골재를 대부분 외부조달에 의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 외적 요인으로 건축자재 원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골재 문제까지 신경 써야 하는 지역 건설업체로서는 가평군이 발 벗고 나서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가평군은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는 지경이다. 골재채취를 위해서는 토석채취제한 해지가 필요하나 이는 요원하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는 경기도와 산림청의 처분만 바라고 있는 가평군의 모습에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tkdgnskkk@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apyeong-gun, who suffers from the problem of aggregate production...

 

-2022. January Terminated the existing extraction site permit

- New permits are also difficult due to opposition from residents..

 

[Reporter Sang-Hoon Nam = Northern Gyeonggi/Gangwon] Gapyeong-gun is suffering from bone regeneration problems. This is because, in January, the only aggregate extraction company in Gapyeong-gun shut down its business, and aggregate production in the region was stopped. Currently, there is no place that produces aggregates in Gapyeong-gun. It is also difficult to obtain new permits. Approval from Gyeonggi-do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is required to obtain a permit for aggregate collection in Gapyeong-gun. Currently, there is only one site in Gapyeong-gun that has applied for an aggregate collection permit. It applied for a project in a part of Unaksan Mountain in Jojo-myeon, Gapyeong-gun. However, permission for the project is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re is preferential treatment and opposition from residents. It is a difficult position for Gapyeong-gun. The image of a clean area, permission to extract earth and stone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district, and stabilization of raw material supply prices are suffering threefold.

 

<Earning soil is OK?...to the controversy over preferential treatment>

Gapyeong-gun announced the planned removal of the earth and stone collection restriction area in January. The location is San211-5, Sinsang-ri, Jojo-myeon, which was designated as a restricted earth and stone collection area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 1991. However, the landowner in question applied for cancellation of designation for the third time after 2014 and 20 year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cellation permission was not obtained from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Gyeonggi Province.

 

There is widespread opposition from the local people in this regard. A media outlet in Gapyeong even raised suspicions of preferential treatment. The media company explained through a report that San211-5, Shinsang-ri, where the cancellation permission was applied for, is adjacent to the earth and stone collection area of ​​a specific company, and that Mr.

 

In addition, the fact that Gapyeong-gun requested the lifting of the earth and stone collection restrictions stating that it was not an area adjacent to cultural properties and that it was over-designated was itself a kind of work and gave preferential treatment.

 

<Executive Director of Gapyeong-gun Aggregate Reproduction... What are the measures?>

Currently, there is no aggregate produced in Gapyeong-gun. Until now, aggregate production in Gapyeong-gun was carried out at three locations. However, starting with KCC in 2020, Kukje New Materials Co., Ltd. in 21, and Hyupshin Co., Ltd. in January 22, all business licenses were terminated.

 

Until last year, Gapyeong-gun consumed about 900,000 rubets of aggregate annually. However, an official in Gapyeong-gun explains that it can exceed 1 million rubles this year. Currently, construction of large-scale apartments in Gapyeong-gun is in full swing. The industry explains that it usually takes about 2.39 rubets of ready-mixed concrete per 1 pyeong to construct an apartment. There are three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in Gapyeong-eup only in Gapyeong-eup, and two more are planned in Seorak-myeon, etc.

 

Aggregate is also used at the road pavement construction site in Gapyeong-gun. Currently, Gapyeong-gun is under construction at two locations, Jojo-myeon and Seorak-myeon, and three additional locations are scheduled for construction after the Chuseok holiday. As the number of construction sites in Gapyeong-gun increases, aggregate consumption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Environment or local economy>

Gapyeong-gun is famous as a mecca for water leisure in the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a clean area. Myeongjisan, Mt. Yumyeong, Unaksan and Yongchu Valley, which are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s in Gapyeong-gun, Mt. Yeonin, the source, and Homyeong Lake and Homyeongsan, one of the eight scenic spots in Gapyeong, are nature-friendly places.

 

Seotaewon Gapyeong-gun also puts forward clean Gapyeong as its slogan. In addition, Gapyeong-gun is promoting that Gapyeong-gun is a clean area by displaying it on the Gapyeong-gun website as “a great haven for 10 million citizens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for the sake of clean Gapyeong, the collapse of the local construction economy cannot be neglected.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experiencing double hardships such as rising building materials and labor costs, which has been on a steep upward trend since this year, is expressing anxiety about the end of the Gapyeong area's aggregate extraction business.

 

In particular, the company that was in charge of the production of aggregates is complaining that it is near death. He says that the worries about the future are not enough because the existing business is terminated and the new business cannot be carried out. An official who spoke to the magazine said, “The permit for the site where we were working was terminated as of January 3rd. Currently, raw stones are procured from outside and crushed, but the production is insufficient.”

 

Also, “The unit price in Gyeonggi-do is high. If there are no producers in the county, the price of Gapyeong-gun will go up a lot,” he predicted.

 

According to the official,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project in Gapyeong-gun, aggregates must be supplied from other regions, and thi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cost due to additional payment of transportation costs.

 

<Gapyeong-gun without an answer>

Gapyeong-gun seems to need measures against the distribution price along with the local aggregate production. However, a military official said, "The Forest Service should ease regulations." There was no mention of countermeasures.

 

In the meantime, politicians in Gapyeong-gun have been voicing regular comments that regional development is too difficult due to various regulations. The same is true of the soil extraction area. Production is in an all-stop state as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Gyeonggi-do have not lifted the restricted areas. Most of the companies in Gapyeong-gun rely on external procurement of aggregates.

 

As a local construction company that has to pay attention to the aggregate problem in a situation where the cost of building materials is rising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Ukraine crisis, Gapyeong-gun expects to solve the problem after it gets out of the way.

 

However, Gapyeong-gun is unable to offer a special solution. Restriction on earth and stone collection needs to be lifted for aggregate collection, but this is far from over. As Gapyeong-gun, Gapyeong-gun only wants to be disposed of by Gyeonggi-do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local construction industry is in a hurry.

 

tkdgnskkk@naver.com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 으랏차차 2024/10/27 [15:22] 수정 | 삭제
  • 가평군 지자체장 서로서로 얼마나 붙어 먹었으면 과거 그 경치좋은 명산 운악산에 채석장 허가를 내줘 운악산을 걸레짝을 만들어 놨습니다. 그게 복원이 되나? 그 허가 내준 놈 골재 채취한 놈들 만천하에 까발려서 대대손손 욕을 처먹게 해야합니다.
남상훈, 가평군, 청정가평, 서태원, 가평군수, 골재, 경기도, 산림청, 허가, 토석채취, 건자재, 건설경제, 관광, 지역경제 관련기사목록
가평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