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권리 중에는 우리가 익히 아는 국민이 행복을 추구할 권리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이 있다. 그러나 모든 국민이 보건에 관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 또한 명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보건에 관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잘 지켜지고 있는지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된 필수 의료 서비스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지에 비추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가평의 의료 환경은 타 시군과 비교하면 대단히 열악하다. 경기도에는 상급 종합병원을 포함한 종합병원이 총 72개가 있으나 가평군에는 전무하다. 가장 가까운 대학병원도 자가용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에 위치한다. 8개의 지방 의료원이 경기도에 있으나 경기북부에는 의정부시, 파주시, 포천시 등 3개시에만 있어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는 게 실정이다.
이른 새벽 산책길에서 갑작스런 뇌출혈로 쓰러진 노인이 병원가는 차안에서 사망했고, 고열로 울고 보채는 아기를 안고 도착한 병원에서 조금만 늦었으면 위험할 뻔 했다는 말을 들은 젊은 엄마의 얘기는 가평군에서는 흔한 사연이 되고 있다.
의료 취약지인 가평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은 어떤 고충을 겪고 있을까?
첫째는 고령층이 겪는 고충이 있다. 가평군은 초고령사회로 분류된 지역으로 노인과 독거노인의 비율이 타 시군에 비해 대단히 높으며 노화 속도 또한 높은 곳이다. 스스로 의료기관을 찾아가는 것조차 버겁다. 긴박하고 긴급한 응급 상황에 수시로 노출되어 있는 계층이지만 관내에는 큰 병원이 없어 직접 구급차를 이용하여 검진이나 치료를 받으러 가야하는 게 현실이다.
둘째는 임산부들이 겪는 고충이 있다. 분만 사각지대라 할 수 있는 가평군에는 산부인과나 분만실을 갖춘 병원이 없다. 가평군 내에 거주중인 임산부가 산통을 느끼고 분만을 위해 인근 분만실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50분이다. 이는 서울의 산모가 평균 3.1분 이내에 분만실까지 도달한다는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셋째는 가평의 소아 및 청소년들이 겪는 고충이다. 가평에는 전문적으로 소아청소년과를 둔 병원이 없다. 소아부터 청소년의 아이들이 소아청소년과를 대신하여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내과에서 진료를 받을 수는 있다. 그러나 소아와 일반 성인은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전이 달라 발병하는 질병군에도 크게 차이가 난다.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문 진료 기관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는 일반 군민이 겪는 고충이다.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등을 당한 중증외상환자나 뇌졸중, 심근경색 등 촌각을 다투는 환자가 발생하여도 응급실을 갖춘 대형병원을 찾아 타 도시로 이동하여야 한다. 인근 도시로 이동하려다 골든타임을 놓쳐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자주 발생 한다. 이런 사고는 일상생활 속에서 예고 없이 찾아오기 때문에 가평 군민들은 긴급 상황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있다고 볼 수 있겠다.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 중에서 민간의료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아무래도 공익보다는 수익성을 추구하다보니 공공의료기관에 비하여 인구가 많은 대도시나 소도시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중에서 공공의료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5.4%에 불과하다. 이 적은 비중의 공공의료기관이 분포하는 곳은 수도권보다도 의료취약계층이 많은 강원도, 전라도 등이다. 민선8기 공약사업으로 경기도 의료원 가평군 유치를 약속한 것은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민간의료기관을 가평군으로 불러들일 수는 없지만 의료취약계층을 위하여 세워지는 공공의료기관이라면 반드시 가평군에 세워져야 할 것이다.
현재 6만 4천 가평군민의 숙원 사업인 경기도의료원 가평유치를 위해 모두가 발 벗고 나섰다. 경기도의료원 가평병원 유치 민관추진단을 구성하였고, 유관단체 간담회를 통해 주민 의견 수렴과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11월 7일부터는 경기도의료원 가평병원 유치 범군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경기도의료원 가평 병원이 설립되어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발생, 국가 재난급 대형 사고 시 다수의 환자를 맡아 치료 할 수 있는 재난 거점 병원으로 지정 활용된다면 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가평군은 경기도의료원 가평병원 유치를 위해 모든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ontribution]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Gapyeong Hospital is needed
Among the rights of the peopl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eople we know well includ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the right to lead a humane life. However, not many people know that the right of all citizens to be protected by the state regarding health is also specified. Whether the right to be protected by the state in relation to health is well maintained should be examined in light of whether essential medical service facilitie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and life of the people are well equipped.
Gapyeong's medical environment is very poor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counties. Gyeonggi-do has a total of 72 general hospitals, including high-level general hospitals, but there are none in Gapyeong-gun. The nearest university hospital is also located more than 30 minutes away by car. There are 8 local medical centers in Gyeonggi-do, but in northern Gyeonggi-do, there are only 3 cities, including Uijeongbu-si, Paju-si, and Pocheon-si, so accessibility is very poor.
The story of an old man who collapsed from a sudden cerebral hemorrhage on a walk early in the morning and died in the car on the way to the hospital, and a young mother who arrived at the hospital carrying a crying baby with a high fever and was told that it would have been dangerous had she been a little late has become a common story in Gapyeong-gun. .
What kind of difficulties are the residents living in Gapyeong, a poor medical area, experiencing?
First, there ar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elderly. Gapyeong-gun is classified as a super-aged society. The ratio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counties, and the aging rate is also high. Even going to a medical institution on your own is difficult. It is a class that is frequently exposed to urgent and urgent emergencies, but there is no large hospital in the city, so the reality is that you have to go directly to the ambulance to get a checkup or treatment.
Second, there are difficulties faced by pregnant women. In Gapyeong-gun, which can be said to be a blind spot for childbirth, there is no hospital equipped with an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or delivery room. It takes an average of 50 minutes for a pregnant woman residing in Gapyeong-gun to move to a nearby delivery room for delivery after feeling labor pain. Compared to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found that mothers in Seoul reach the delivery room within 3.1 minutes on average, this is truly regrettable.
The third is the difficulties fac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apyeong. There is no hospital in Gapyeong that specializes in pediatrics. Children from children to adolescents can receive treatment at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for adults instead of the pediatric department. However, children and general adults have different anatomical structures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so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group of diseases that develop.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targe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fourth is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general military. Even if a patient with severe trauma, such as a traffic accident or fall, or a patient struggling with stroke or myocardial infarction occurs, they must find a large hospital with an emergency room and move to another city. It often happens that people lose their lives because they miss the golden time while trying to move to a nearby city. Since accidents like this happen without warning in everyday life, it can be said that the residents of Gapyeong are defenseless in an emergency situation.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all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It can be seen that, since profitability is pursued rather than public interest, it is concentrated in large cities or small cities with a larger population tha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s of 2020,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ccount for only 5.4% of all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The places where this small percentage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re distributed are Gangwon-do and Jeolla-do, which have more medically vulnerable groups than the metropolitan area. It can be said that this is why he promised to attract Gyeonggi-do Medical Center to Gapyeong-gun as a pledge project for the 8th popular election.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cannot be called into Gapyeong-gun, but if they ar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the medically vulnerable, they must be established in Gapyeong-gun.
Currently, everyone is stepping out to attract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to Gapyeong, a long-cherished project of 64,000 residents of Gapyeong-gun. A public-private promotion group was formed to attract Gapyeong Hospital to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and public opinions are collected and promoted through meetings with related groups. From November 7th, the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started a signature campaign for all citizens to attract Gapyeong Hospital.
If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Gapyeong Hospital is established and designated as a disaster base hospital that can take care of and treat multiple patients in the event of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or a major national disaster,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both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Gapyeong-gun will spare no efforts and support to attract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Gapyeong Hospital.
이 기사 좋아요 1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서태원, 가평군수, 기고문. 경기도의료원, 가평병원, 의료환경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칼럼·사설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