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주 도의원 발의, 경기도 공공시설 내 청각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상임위 통과해청각장애인이 공공시설 이용 음성 안내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
[김일웅 기자 = 경기북부/강원] 3월 24일, 이영주 경기도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 공공시설 내 청각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 및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제358회 경기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에서 가결됐다고 밝혔다.
개정 조례안은 공공시설에 보청기기 및 보청기기 보조장치를 설치하여 청각장애인이 공공시설 이용과 관련한 음성 안내 정보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사회참여와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청각장애인 추정 수는 44만여 명이며, 전체 청각장애인의 74%(32만6천여명)가 보청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는 보청기 사용자는 소리를 크게 들을 수 있지만, 동시에 원하지 않는 주변의 소음까지 크게 듣는 경우가 많아 청각장애인은 다양한 소음이 발생하고 이용자가 많은 공연장, 지하철 등 공공시설 이용 시 안내방송 등 꼭 필요한 음성정보를 알아듣기 힘든 상태를 자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변의 소음은 제거하고 음성만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청기기 전용 방송 장치와 같은 보청기기 보조장비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일부 공공청사와 장애인복지시설 등에 설치되고 있다고 했다.
개정안 통과로 경기도 내 공공시설에 보조기기 전용 방송 장치와 같은 보청기기 보조장비 설치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확고하게 마련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영주 의원은 “청각장애인 70% 이상이 보청기기를 사용 중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공시설에는 보청기기 사용자가 특정 공간 내에서 소리를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청기기 보조장비 설치가 미비해, 청각장애인들이 공공시설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며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청각장애인들의 공공시설 이용 편의를 높이고 나아가 다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만들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rovincial Assemblyman Lee Young-joo's proposal, the standing committee passed the ordinance for partial revision of the ordinance for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in Gyeonggi-do public facilities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o support hearing impaired people to easily and accurately listen to voice guidance information using public facilities
[Reporter Il-woong Kim = Northern Gyeonggi/Gangwon] On March 24, the 'Ordinance on Partial Revision of the Ordinance for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in Gyeonggi-do Public Facilities' proposed by Gyeonggi Assemblyman Lee Young-joo, the first public health It was approved by the Welfare Committee.
The amended ordinance aims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and welfare of the hearing impaired by installing hearing aids and hearing aid assistive devices in public facilities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more easily and accurately listen to voice guid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of public facilities. .
According to the '2020 Survey on the Disabled'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stimated number of deaf people nationwide is 440,000, and 74% (326,000) of the total deaf people are using hearing aids, and the problem is hearing aid users. can hear loud sounds, but at the same time, they often hear unwanted noises too loudly, so hearing impaired people generate various noises, and when using public facilities such as concert halls and subways with many user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ssential voice information such as announcemen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hearing aid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hearing aid-only broadcasting device that removes ambient noise and helps to hear only voices has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some public building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They said it was being installed in welfare facilities, etc.
Through the passage of the amendment, it is said that the institutional basis for the installation of hearing aid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n auxiliary device-only broadcasting device, has been firmly established in public facilities in Gyeonggi-do.
Rep. Lee Young-ju said, “Despite the fact that more than 70% of hearing-impaired people are using hearing aids, most public facilities do not have hearing aids to help users with hearing aids hear sounds clearly in specific spaces. They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 in using public facilities,” he said.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김일웅 기자, 경기도의회, 이영주 도의원, 경기도 공공시설 내 청각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 및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가결, 보청기기, 보청기기 보조장치, 사회참여, 복지향상 목적, 2022년 장애인 실태조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정치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