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당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다수의석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번의 선거패배에서 볼 수 있듯이 국민이 바라보는 민주당에 대한 시선은 회의적이다. 민생과 정책을 외치지만 돌아오는 메아리는 빈약하다.
일일이 사례를 나열하지는 않겠다. 내로남불이 아니라고 강변해도, 그동안 민주당이 보여줬던 정치행태는 비난 받을 만한 원인제공을 한 것이 분명하다. 수권정당으로서 민주당의 생명력이 어디까지 일까? 하는 내부에서부터의 우려는 현실이 된 것만은 분명하다.
대선과 지선에서의 연이은 패배는 가뜩이나 취약한 강원도에서 민주당 위세를 더 위축시켜 버렸다. 다시 민주당의 정체성을 되찾고 구성원의 자긍심을 회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민주당은 어떻게 다시 변화하고 혁신하여 국민의 신뢰를 되 찾을 수 있을까? 정치적 반사이익이나 상대적 평가로 지지를 받는 정당은 올바른 정당의 길도 아니고 생명력도 길지 않다.
정당의 순기능은 지역과 현장 곳곳에서 국민의 아픔과 고단한 삶을 돌보는 것이다. 갈등요인을 찾아내고 올바른 방향과 해법을 찾아내어 정책으로 가다듬고 법제화 하는것이 정당의 역할임은 자명한 일 이다.
선거를 앞두고 정당이 입안하는 정책과 공약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국민의 삶의 현장과 괴리되어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22대 총선을 1년여 앞두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의 정책과 총선전략의 싱크탱크 기능과 역할이라는 막중한 임무가 연구소에 주어졌다.
취약해진 지역조직을 점검하는 일부터 강원도민의 염원을 담은 정책으로 수정, 보완하고 강원특별자치도로의 위상 변화에 걸맞는 미래지향적 정책을 발굴하고 가다듬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정책정당, 민생정당” 이라는 더불어민주당의 대표 슬로건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17개 시도당이 정책역량을 강화하는 길이 다가올 총선을 준비하는 올바른 방향과 자세일 것이다.
“강원해파랑연구소”는 당원의 여론수렴을 통해 4대 핵심 아젠다를 설정하였다. 강원특별자치도, 기후위기, 균형발전, 민생경제 가 그것이다.
4개 핵심 아젠다는 현실과 미래비젼을 포괄하는 담론 수준의 주제이다. 4대 핵심 아젠다에서 파생하는 분야별 연구과제를 학계 교수진, 지방의회 의원, 당원과 함께 가다듬고 정제하여 정책으로 만들어 갈 계획이다.
현안과 이슈에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는 토론회도 주기적으로 개최 할 계획으로, 오는 3월 29일 첫 출발로 “강원특별자치도 성공의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자치단체, 행정주체가 주도하는 특별도가 아닌 주민자치, 시민사회, 제정당 등 강원도민이 주체가 되고 주인이 되어 함께 참여하여 만들어 가는 강원특별자치도에 대한 각 분야의 치열한 토론이 예정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에 대한 논리와 이해를 돕고, 풀뿌리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소중한 계기로 삼고자 한다.
강원도민과 당원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소의 모습을 찾아갈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s seen in the two defeats in the elections, the people's gaze toward the Democratic Party is skeptical despite having a majority of seat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history of political parties. They cry out for public welfare and policies, but the echoes that come back are meager.
I will not list the cases individually. Even if you insist that it is not Naero Nambul, it is clear that the political behavior that the Democratic Party has shown so far has provided a cause worthy of criticism. How far will the life force of the Democratic Party as an authoritative party go? It is clear that the concerns from the inside have become reality.
The series of defeats in the presidential and branch elections further weakened the prestige of the Democratic Party in the already vulnerable Gangwon Province. It has become an urgent task to regain the identity of the Democratic Party and restore the pride of its members.
How can the Democratic Party change and innovate again to regain the trust of the people?
A party that is supported by political reflection or relative evaluation is not the right way to be a political party, and it does not have a long life span.
The positive function of a political party is to take care of the pain and hardships of the people in the region and in the field. It is self-evident that the role of the political party is to find the cause of conflict, find the right direction and solution, refine it into policy, and legislate it.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rocess of making policies and pledges formulated by political parties ahead of the elections is far from the scene of people's lives.
The 22nd general election is about a year away. The important task of the think tank function and role in the policy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the general election strategy was given to the institute.
From examining the weakened local organizations, the task wa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olicies containing the wishes of Gangwon-do residents, and to discover and refine future-oriented policies suitable for the change in the status of Gangwon-do.
The way for the 17 provincial and provincial parties to strengthen their policy capabilities so that the Democratic Party’s representative slogan, “policy party, people’s livelihood party” can become a reality, will be the right direction and attitude to prepare for the upcoming general elections.
“Gangwon Seawave Research Institute” set four key agendas through gathering public opinion from party members. They are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limate crisis, balanced development, and people's livelihood economy.
The four core agendas are discourse-level topics that encompass reality and future visions. We plan to refine and refine research tasks by field derived from the four core agendas together with academic faculty, local council members, and party members to make them into policies.
The institute is preparing a program called “Policy Market” with the concept of a market for buying and selling goods. As the saying goes, “There is an answer in the field,” we seek to find local livelihood sites and listen to the live voices of citizens.
We also plan to periodically hold discussions to present critical alternatives to current issues and issues, starting with the first meeting on March 29th under the theme of “What are the conditions for success in Gangwon-do?”
Intense discussions in each field are scheduled for Gangwon-do, which is not a special province led by local governments and administrative entities, but is created by residents' autonomy, civic society, and political parties.
We want to use it as a valuable opportunity to help understand the logic and understanding of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build grassroots governance.
I hope that we will be able to find a research institute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Gangwon-do residents and party members.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김준호, 민주당, 민주당강원도당, 해파랑연구소, 정책연구소, 김세종, 정책정당, 민생정당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