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 기자 = 경기북부/강원] 강원도 여성가족연구원은 2021년 연구과제인 『강원도 초등돌봄 실태 및 지역협력형 모형 개발』을 수행했다고 밝혔다.(연구책임자 전현수).
해당 연구에서는 강원도 내 전체 초등학교 학부모 1,789명 대상으로 초등아동 돌봄실태 및 정책수요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강원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돌봄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과 함께 지역협력형 초등돌봄 사업 모형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 현행 초등돌봄서비스는 분절적으로 이용자 입장에서 정책 체감도와 인지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듯 도내 초등돌봄 서비스 이용아동은 17,003명으로 공급률은 23.1%이었다고 했다.
실태조사 결과 학기 중 평일 12.1%, 방학 중 16.4%가 어른 없이 혼자 있는 돌봄공백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특히, 맞벌이 가구 자녀의 돌봄공백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또한 가구 특성에 따라 정책지원 욕구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시·군별, 경제활동 유형, 근로형태, 한부모가구 여부, 경제수준 등 개별가구 특성에 맞는 서비스 공급의 필요성이 확인됐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한부모 가구에 비해 비해당 가구의 돌봄공백 비율이 3.3%p 높아 제도권 밖에 있는 일반가구 아동들의 돌봄공백에 더 쉽게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또한 부모가 전일제 근무일 경우 아침 시간대와 종일 돌봄서비스 수요가 더욱 높았고, 군 지역의 경우 ‘집근처에 이용할 만한 기관이 없음’ 등 접근성이 낮다는 인식이 4.3%p 더 높으며,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관련 초등돌봄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및 정책 인지도가 현저하게 낮았다고 했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더불어 도내 초등아동의 주된 양육자는 현행 초등돌봄 서비스에 대해 인지도가 낮거나, 접근성이 낮고, 선별적인 대상자 선정의 편향성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했다.
전현수 책임연구원은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저출산 시대 초등돌봄 제도는 기존 공급확대 전략에서 나아가 질 높은 보편적 서비스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서비스 전달체계 개편과 아이 돌봄을 위한 적극적인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활용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angwon-do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and policy needs
1,789 parents of all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Reporter Hyeon-Woo Kim = Northern Gyeonggi/Gangwon] The Gangwon-do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announced that it had carried out the 2021 research project, “Gangwon-do Elementary School Nursing Condi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Model Development” (Research Director Jeon Hyeon-soo).
In this study,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status and policy demand was conducted on 1,789 parents of all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angwon-do. tol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care service is segmentally declining in terms of policy sensitivity and awarenes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12.1% of weekdays during the semester and 16.4% during vacations were in a state of care vacancy without an adult, and it was found that the care gap for children of dual-income households was particularly severe.
In addition, the needs for policy support differed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he said. He said that the necessity of providing services tailored to individual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city/gun, economic activity type, working type, single-parent household status, and economic level was confirmed.
Specifically, compared to single-parent households, the ratio of non-party households was 3.3%p higher, suggesting that it could be more easily drawn into the care gaps of children in general households outside the system.
In addition, if the parents worked full-time, the demand for care services in the morning and all day was higher, and in the case of the county, the perception of low accessibility such as 'there is no institution available near the house' was 4.3%p higher. They said that the awareness of information and policies related to primary care services was remarkably low.
In the case of dual-income households, the main caregiv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province also said that they had low awareness or low accessibility to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are service, and perceived the bias in the selective selection of subjects as a problem.
Senior Researcher Hyunsoo Je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supply expansion strategy to a high-quality universal service for the elementary care system in an era of low fertility, when the school-age population is declining. He said that the linkage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is necessary.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김현우 기자, 강원도 여성가족연구원, 2021년 연구과제, 강원도 초등돌봄 실태 및 지역협력형 모형 개발, 초등아동 돌봄실태 및 정책수요 조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