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양주대모산성 출토 ‘궁예가 세운 태봉국... 한반도 발견 목간 중 문자 수 최다’

국내 최초 태봉 문자 자료 출토 사례... 새롭게 확인된 태봉인‘무등’의 존재 확인

김완영 기자 | 기사입력 2023/12/02 [15:30]

양주대모산성 출토 ‘궁예가 세운 태봉국... 한반도 발견 목간 중 문자 수 최다’

국내 최초 태봉 문자 자료 출토 사례... 새롭게 확인된 태봉인‘무등’의 존재 확인

김완영 기자 | 입력 : 2023/12/02 [15:30]

▲ 목간 적외선 촬용모음  © 경기북부 브레이크뉴스

 

[브레이크뉴스양주 = 김완영 기자] 경기도 양주시(시장 강수현)와 재단법인 기호문화재연구원(원장 고재용)은 양주 대모산성(사적 제526호) 13차 학술발굴조사에서 출토된 ‘태봉국 목간’의 판독회의를 지난 20일~21일까지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목간 한 면에 적혀 있는 ‘정개 3년 병자 4월 9일’(政開三年丙子四月九日)의 문구에 대한 판독을 확정했다. 
 
목간에서 언급된 ‘정개’(914~918)는 태봉국 궁예(? ~ 918년)의 마지막 연호이며, 정개 3년은 916년을 의미한다.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국과 관련된 이번 목간의 출토는 국내에서는 최초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판독회의에서는 916년은 병자년으로 목간의 기록과도 일치하여 “연호와 간지가 결합된 절대 연대를 보여주는 유일한 목간”으로 그 중요성을 높게 평가했다.
 
한편, 이번 판독회의에서는 대모산성 출토 ‘태봉국 목간’에 대해 총 8면으로 구성되었고, 그림이 있는 한 면과 공란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8행의 글씨가 묵서되어 있다.
 
총 글자 수는 123자로 구성되어 한반도에서 발견된 목간 가운데 최다면(最多面), 최다행(最多行), 최다 문자 수인 것에도 주목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단편적으로 밖에 확인할 수 없는 ‘태봉국’의 모습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이번 출토 유물의 가치는 ‘새로운 삼국사기의 발견’에 비견될 정도로 한국 고대사 연구에도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판독회의에서는 총 123자의 글자 가운데 102글자가 판독되었다. 판독 결과 양주대모산성 내 큰 연못(大井)에서 대룡(大龍)에게 제사를 지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이러한 내용 가운데 새로운 태봉 사람의 존재가 확인됐다. 
 
바로 목간 4면에 ‘신해세입육무등’(辛亥歲卄六茂登) 의 글귀에서 신해년 태생의 26세 ‘무등(茂登)’이라는 사람이 등장하는데, 신해년은 891년으로 정개 3년(916년) 시점에 26세로 계산되어 목간의 제작 시점과 일치하며,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태봉 사람의 인명이다.
 
한편, 이번 목간은 양주대모산성 13차 발굴조사에서 새로이 확인된 집수시설에서 출토되었다. 이번 태봉국 목간의 출토는 양주대모산성이 삼국시대~후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교통로 상의 중요 위치에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며, 후삼국시대에도 양주대모산성 일대에 정치세력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양주대모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잠재성을 높이 평가하여 지난 2018년부터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고, 그 결과 이번 발굴조사에서 ‘태봉국 목간’을 찾을 수 있었다.     
 
강수현 양주시장은 “발굴 현장 공개회를 오는 12월 6일 개최하여, 이번 발굴조사 결과와 태봉국 목간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며, 판독회의에서 밝히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그동안 역사학계에서 미지의 세계로 보여진 태봉국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밝혀나가겠다”고 밝혔다.
 

▲ 양주대모산성의 목간 출토 집수시설  © 김완영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xcavated at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Taebongguk built by Gungye...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among the wooden tablets discovered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s first case of excavation of Taebong text materials... Confirmation of existence of newly confirmed Taebong character ‘Mudeung’
 
[Break News Yangju = Reporter Kim Wan-young] Yangju-si, Gyeonggi-do (Mayor Kang Soo-hyun) and the Institute for Cultural Heritage of Symbols (President Ko Jae-yong) held a reading meeting on the 'Taebongguk Wooden Tablet' excavated during the 13th academic excavation at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Historic Site No. 526). It was announced on the 28th that it was held from the 20th to the 21st.
 
At the meeting on this day, the reading of the phrase ‘April 9th, 3rd year of King Jeonggae’ (政開三年丙子四月九日) written on one side of the wooden tablet was confirmed.
 
‘Jeonggae’ (914-918) mentioned in the wooden tablet is the last era of Gungye (? ~ 918) of Taebongguk, and the 3rd year of Jeonggae refers to the year 916. The excavation of this wooden tablet related to Taebongguk, the country founded by Gung Ye, is considered the first case in Korea.
 
In addition, the reading meeting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916 as “the only wooden tablet that shows the absolute date combined with the era name and zodiac sign,” as it coincided with the record on the wooden tablet as the year of Byeongja.
 
Meanwhile, at this reading meeting, the 'Taebongguk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Daemosanseong Fortress consisted of a total of 8 pages, and except for one side with a picture and one blank side, 8 lines of writing were written in ink on the remaining pages.
 
It was also noted that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was 123, making it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the largest number of lines, and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among the wooden tablets discover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value of these excavated relics is comparable to the ‘discovery of the new Samguk Sagi’ in that they reveal the appearance of ‘Taebongguk’, which can only be confirmed fragmentarily in the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nd are expected to bring a new wind to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At this reading meeting, 102 out of a total of 123 characters were read. As a result of the reading, the main content is about offering ancestral rites to Daeryong (大龍) at a large pond (大井) within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and among these contents, the existence of a new Taebong person was confirmed.
 
On the 4th page of the wooden tablet, a 26-year-old person named ‘Mudeung (茂登)’ appears in the text ‘Shinhae Seip Yuk Mudeung’ (辛亥歲卄六茂登). The year of Sinhae is 891, the 3rd year of Jeonggae (916). He was calculated to be 26 years old at the tim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wooden tablet, and is the personal name of a new Taebong person who has not been reported in academic circles.
 
Meanwhile, this wooden tablet was excavated from a water collection facility newly identified during the 13th excavation of Daemosanseong Fortress in Yangju. The excavation of the Taebongguk wooden tablet proves the fact that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was an important location on the ancient transportation rout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nd is an important example showing that political forces existed in the Yangju Daemosanseong area eve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s being evaluated.
 
The city highly evaluated the historical value and potential of Yangju Daemosanseong Fortress and has been conducting an excavation since 2018. As a result, the ‘Taebongguk wooden tablet’ was found during this excavation.
 
Yangju Mayor Kang Soo-hyun said, “We plan to hold an open meeting at the excavation site on December 6th to reveal the results of this excav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Taebong-guk wooden tablet.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to resolve issues that were not revealed at the excavation meeting. “We will sequentially reveal the appearance of Taebong-guk as seen in the world of ,” he said.
 
kwy160901@hanmail.net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강수현 양주시장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