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다. 적재적소에 적절한 인물을 쓰는 ‘용병술’은 하나의 통치 미학이다. 내각을 구성하는 장관들은 국회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청와대 인사는 사실상 대통령 ‘마음’에 달렸고, ‘인사마인드’를 엿 볼 계기다. ‘인사(人事)는 만사(萬事)’란 말도 있듯 ‘인사’만 잘해도 정치적 갈등의 절반 이상은 사라진다. 하지만 매 정권 때마다 제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게 이 ‘인사’다. ‘경상도 정권’ ‘전라도 정권’ 등 대통령의 출신지로 명명 되는 이 명칭의 함수 속엔 해당 정권의 ‘인사 분포도’ 역시 포함돼 있다.
최근 청와대의 인사흐름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이 있다. 언론인-TK(대구·경북) 출신들이 각개약진하고 있는 점이다. 충청권이지만 언론인 출신 문창극 전 총리후보자와 이정현(호남) 전 홍보수석 후임인 윤두현 홍보수석 역시 언론인-경북경산 출신이다. 또 공석인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에 내정된 천영식 문화일보 전국부장은 경북청송, 뉴미디어비서관에 내정된 민병호 데일리안 대표 역시 경북군위 출신이다. 청와대 홍보수석실 핵심 비서관 2명이 보수 성향 강한 TK출신들이다. 언론계에선 TK출신이 아니었으면 가능했을 까 하는 얘기가 나온다. 박근혜 정권 1기 권력 주요 요직엔 소위 ‘PK(부산·경남)’ ‘법조·군(軍)’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던 가운데 PK·수도권 출신들이 청와대 비서관으로 많이 발탁됐고, 그 정점엔 PK출신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이 여전히 자리하고 있다. 박근혜 정권 1, 2기 모두에 ‘K함수’는 여전히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는 셈이다. 자칫 박 대통령이 ‘K그룹’에 둘러싸여 있다는 얘기까지 나올 판이다. 사실 이들 청와대 비서관들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본연의 임무 외 국가의 고위직 인사 및 정책을 결정하는데 중요 역할을 한다. 한데 이들이 같은 동향인 TK출신들인데다 강경보수 성향 일색으로 채워지면서 특정 지역 정서와 무관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는 셈이다. ‘적재적소’가 아닌 ‘끼리끼리’ 형국의 청와대 인사 양태로 인한 일말의 우려가 일 수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수석비서관회의 석상에서 “유능한 공직후보자를 상시 발굴해 인재풀을 만들고, 이들에 대한 평가와 검증자료를 평소 미리 관리해 필요한 자리에 꼭 필요한 인재를 찾아 쓰도록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안대희-문창극’ 등 잇단 국무총리 후보자들 인사실패에 대한 대책의 일환인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실 신설운용에 대한 입장에서 나온 얘기다. 꼭 필요한 인재를 찾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인사를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하지만 현 청와대 수석실 중에서도 가장 핵심으로 꼽히는 민정수석비서관실 경우 TK일색이어서 일말의 이율배반감과 함께 이질감마저 들게 하고 있다. 청와대 비서관 중 ‘핵심 중 핵심’으로 꼽히는 인사팀장 경우도 김동극(경북영주), 안봉근 제2 부속실 비서관(경북달성)과 우병우 민정비서관(경북영주), 권오창 공직기강비서관(경북안동), 김종필 법무비서관(대구) 등 제반이 TK출신들이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널리 인재를 구하지 않고 동향 출신들을 데려다 쓰고 있음을 반증하는 배경이다. 좁고 편협한 ‘인재 풀’과 ‘용병술’ 양태의 이면엔 ‘신뢰’ 문제가 핵심으로 자리한 형국이다. ‘동향-같은 집단출신’을 선호하는 한국적 정서가 현 청와대 인사에도 베여있는 셈이다. 이는 역대 정권들에 비쳐볼 때 권력이 미약해지거나 지지율 하락 등에 따른 위기 상황일 경우 나타났었다. 지난 노태우-김영삼-김대중-이명박 정권 당시에도 그랬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는 이제 집권 1년6개월, 겨우 2기에 접어든 시기임에도 불구 엇비슷한 상황들이 연출되고 과거 정권 사례가 ‘오버랩’되면서 우려를 일게 하고 있다.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