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재상영 촉구한다!

“천안함 프로젝트”상영중단에 관한 작은 생각

김충렬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13/09/10 [14:07]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재상영 촉구한다!

“천안함 프로젝트”상영중단에 관한 작은 생각

김충렬 칼럼니스트 | 입력 : 2013/09/10 [14:07]
한국사회가 최근에 국정원대선개입과 NLL에 들끓고 이석기 구속으로 한바탕 광풍이 불더니 뜬금없이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중단사태로 점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혹자는 그까짓 영화한편 중단되는 게 뭐 대수인가? 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 천안함     ©브레이크뉴스

한국영화는 1961년 제11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특별은곰상을 받은 이후 반세기 동안 한국영화는 국제무대에서 장족의 발전을 거듭해왔다.
 
세계3대영화제인 베니스, 칸느, 베를린국제영화제 등을 통해 임권택, 이창동 ,김기덕, 박찬욱, 홍상수 감독 등이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한국영화를 세계에 알리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2002년 칸국제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같은 해 베니스영화제에서 이창동 감독과 영화배우 문소리가 '오아시스'로 감독상과 신인 배우상을 수상했었다.
 
2004년에는 베를린영화제에서 '사마리아'(김기덕)로 감독상을, 칸영화제에서 '올드보이'(박찬욱)로 심사위원 대상을, 베니스영화제에서 '빈집'(김기덕)으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 3대 영화제에서 3관왕을 차지하며 한국영화를 전 세계에 뚜렷하게 각인시켰다. 또 1987년 베니스영화제에서 '씨받이'(임권택)의 강수연에 이어, 2007년에는 '밀양'(이창동)의 전도연이 칸느영화제 최우수 여자 배우상을 받았다. 정부의 도움없이.
 
뿐만 아니라 한국영화의 이단아인 김기덕 감독이 2004년 '빈집'으로 감독상(은사자상)을, 2012년 자신의 18번째 영화 '피에타'로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의 영예를 안았었다.
국내에서는 또 어떤가? 한국 영화를 선도하고 있는 부산, 전주, 부천국제영화제 등이 세계 속에 한국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 더구나 자랑스러운 것은 허리우드의 대자본에 맞서 자국의 영화로 국내시장을 침식당하지 않고 당당히 독자적인 작품세게를 구축하며 세계시장을 개척해나가는 것은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그런데 21세기 대명천지에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강압에 의하여 상영이 중단되었다. 이미 유족과 사회 일각에서 낸 상영금지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기각한 작품인데‘보수단체의 강한 항의 및 시위에 대한 예고로 관람객 간 현장 충돌이 예상돼 일반 관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라고 메가박스측은 해명하고 있지만 제작사인 정지영 감독 측에서는 그 어떤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중단시킨 상황이라는 것이다.
 
법의 합법적 절차에 의하여 상영된 영화가 어느 단체의 강압에 밀려서 영화 상영이 중단된다면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세계의 문화인들은 한국을 어떻게 생각할까? 천안함 폭침으로 죄없이 사라져간 숭고한 46인의 생명을 대한민국 어느 누가 부정하며 안타까워하지 않겠는가?
 
사법부가 상영이 정당하다고 판결한 영화가 일부 단체의 협박과 압력으로 뒤집혀지는 한국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인가? 일부 단체의 힘이 사법부보다 더 크다는 얘기라면 한국사회가 깡패국가인가? 아니면 조폭국가인가?
 
역사의 진보가 합리적 이성의 비판에 의하여 발전해 온 것에 동의한다면 최소한 진실을 추구한 표현의 자유는 주어져야 하는게 정의라고 생각한다.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종북 좌빨로 공격하는 것은 미개인의 사회이고 야만의 사회이다. 강압에 의한 주입이 아니라 합법적 반론에 의한 설득이 정의로운 사회라고 생각한다.
 
영화 한 편을 보는 것만으로 진보냐 보수냐의 편 가르기의 지배이데올로기는 언제까지 계속되어야 할까? 우리네 국론분열의 사회적 현실이 암담하다.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영화“천안함 프로젝트”의 재상영을 촉구한다. 이것이 대한민국의 정의라고 생각한다. hpf21@naver.com

*필자/김충렬. 칼럼니스트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1/16
많이 본 기사